▲ 김도형 변호사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봉사활동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훨씬 더 살기 좋은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어렸을 때 막연하게나마 힘들고 어려운 사람을 돕겠다고 생각했다. 성장하면서 많은 사람의 도움을 받았고, 기회가 되면 나도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주어진 환경에서 다른 사람을 위하여 나름대로 봉사한다고 했지만 언제나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봉사정신이 부족하고, 봉사하는 방법을 몰라서 실천이 어려웠던 것 같다. 지금은 장학재단 기부, 재능 기부, 단체를 통한 봉사활동 등을 통해 조금이나마 주변에 도움을 주면서 마음의 위안을 삼고 있다.

봉사하는 기회를 갖기 위하여 로타리클럽 등 봉사단체에 가입하였고, 연탄배달, 집수리, 무료급식, 마을청소, 불우이웃돕기, 시계탑 설치, 체육시설 기부, 장학금 지급 등에 참여하면서 많은 보람도 느꼈다. 하지만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도 ‘도움이 더 필요한 사람은 없었을까?’, ‘봉사로 인하여 오히려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이나 지역은 없었을까?’, ‘좀 더 나은 봉사는 없을까?’라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

수많은 개인과 단체가 지역사회를 위하여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학생들은 봉사활동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른도 각자의 필요에 의하여 봉사활동에 뛰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봉사를 목적이나 강령으로 하는 적십자사, 국제로타리클럽, 국제라이온스클럽, 국제와이즈맨클럽 등은 지역사회 봉사를 사업계획으로 정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많은 단체들이 지역사회를 위하여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봉사활동을 보면,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도움이 중복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봉사활동이 정해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봉사활동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주체가 있다면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도움을 받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과연 누가 봉사활동을 관리할 주체가 되어야 할까?

먼저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적합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역을 가장 잘 알 수 있고, 알고 있는 위치에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나 시설을 파악해서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알려준다면 개인이나 단체가 봉사할 대상을 선정하는데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봉사활동의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고, 도움이 중복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단체장이 봉사단체 관계자들과 간담회 개최 등 만나는 자리를 마련한다면 정보의 공유를 통하여 봉사활동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자부심과 자긍심을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는 경우에는 선거에 이용되는 등의 부정적인 요인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시민단체가 나서서 봉사협의체를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다. 봉사의 참뜻을 이해하고 실천할 마음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누가 주체가 되더라도 봉사에 참여하는 개인이나 단체가 서로 존중하고 양보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봉사가 생활화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봉사활동을 통하여 우리 지역이 더욱 살기 좋은 곳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