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기영 순천대교수
제1회 전국동시 조합장선거가 3월 11일에 실시된다. 순천에서 순천광양축협은 단독 출마로 무투표 당선되었고, 순천농협, 순천원예농협, 전남낙농협, 순천시산림조합은 각각 후보가 2명~4명이 경합하고 있다.

지금 농촌은 여러 문제로 시름하고 있다.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의 FTA로 축산업이 크게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원예작물 가격은 불규칙하게 하락을 반복 하고 있다. 그 결과 농가의 가구소득은 도시와 비교할 때 소득 비율이 많이 줄어 농촌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다. 

또 농촌인구의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37.3%, 6년 후인 2021년에는 45.6%로 예상된다. 이들 고령인구가 대부분 농사를 그만두게 되는 2025이나 2030년에 농촌은 누가 지킬 것인지 걱정이다. 

따라서 농축산업 정책은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혁신해나가야 하는데, 그 핵심에 협동조합의 역할이 있다. 그런데 여러 지역에서 조합장 선거 과정에 불미스러운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협동조합의 역할에 걱정이 커진다.

협동조합이 농축산업 종사자들을 위한 기구로 재탄생되어야 한다. 최근 로컬푸드나 농식품 소비 패턴의 변화, 중국의 개인 소득 증가, 생명소재 산업의 부상, ICT 기술의 발전 등은 농축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이며, 새로운 도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대농 유도 정책에서 탈피하여 농업 규모에 따른 생산 전문화를 추진하되 소농 중심으로 진행되는 로컬푸드 생산 및 소비의 연계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 가족농으로 진행되는 소농 중심의 로컬푸드 생산 기반을 정착시키고 도시 직거래 소비 시스템과 연결하여 고품질 친환경 안전먹거리로 특화하여 소농의 농가 소득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그리고 고품질 소량 생산으로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농업인 중심의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유사한 품목 생산자가 결합한 소규모의 생산자 협동조합과 유통 종사자 협동조합을 구성하여 소비자와 직거래 유통망을 구축하여 규모의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두 번째, 농업행정 체계를 개선하여 기술농업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대학 및 생명과학연구자, 농업인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기술개발과 기술지도가 결합되어 현장에서 농업기술 혁신이 일어나고 기술영농으로 이어질 수 있는 행정체계로 개선되어야 한다.

현재의 농업행정 체계는 중앙정부에 농업진흥기구인 농촌진흥청이 설치되어 있고, 지역에는 농업 정책업무(행정부서, 농업직)와 농촌기술 지원업무(농업기술센터, 연구직과 지도직)로 이루어져 있다. 순천시에도 이 두 가지 업무가 통합되기도 하고, 분리 운영되기도 하였다.

즉 국가업무로 수행되던 기술 지원업무가 1997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되었으므로 국가의 농업진흥기구인 농진청의 기술개발 성과가 지역의 기술지원과 결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지역에서 기술지원이 일부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기술영농은 농업인 개인이 자체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따라서 지역 농업을 혁신하기 위해서는 농촌진흥청과 지역의 농과대학이 영농중심 연구로 전환되어야 하고, 지역 농업기술센터와 연계되는 기술지원 체계를 전국가적 차원에서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는 조합장이 선출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