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일 ‘재미난제과점’을 찾아 사장이자 직원인 정소담(왼쪽), 장선하(가운데), 김예진(오른쪽) 씨를 만났다.
지난달 14일 ‘재미난제과점’을 찾아 사장이자 직원인 정소담(왼쪽), 장선하(가운데), 김예진(오른쪽) 씨를 만났다.

‘재미난제과점’이 지난 4월 문을 열었다. 순천시 저전동에 위치한 ‘재미난제과점’은 청소년이 지역농산물을 이용해 빵을 만들어 팔고, 운영하며 자립할 수 있는 곳이다.
지난달 14일 제과점을 찾아 사장이자 직원인 김예진(19), 장선하(20), 정소담(21) 씨를 만났다. 언뜻 보면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세 사람은 ‘학교 밖 청소년’이었다.
세 사람은 각자 다른 이유로 고등학교에 가지 않았다. 진학한 학교가 맞지 않아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진학하고 싶은 학교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세 사람은 청소년 직업체험 프로그램 ‘길 위의 셰프’를 통해 제과제빵 기술을 배웠다. 프로그램을 마칠 무렵, 순천풀뿌리교육자치협력센터(이하 센터)로부터 ‘제과점을 열어보는 게 어떻냐’는 제안을 받았다. 사장이 돼 직접 가게를 꾸려나가야 한다는 부담감도 잠시, ‘할 수 있는 일을 해 보자’는 생각에 창업을 결심했다.
사업장은 순천시 도시재생 저전동 일방통행길(남교오거리~순천여고) 창업 공간사업을 통해 마련했다. 필요한 제과제빵 기구는 한 사회봉사 클럽이 지원했다. 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사회단체 등의 지원으로 지난 4월 ‘재미난제과점’ 문을 열었다.

'재미난제과점'은 우리 지역에서 나는 밀과 유정란을 사용해 빵을 굽는다. ⓒ순천광장신문
'재미난제과점'은 우리 지역에서 나는 밀과 유정란을 사용해 빵을 굽는다. ⓒ순천광장신문

운영은 쉽지 않았다. 개업 당시에는 빵이 잘 팔리는가 싶더니 여름이 되자 빵을 찾는 사람이 줄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도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진자가 늘면서 운영이 어려울 만큼 매출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하지만 이 시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일등공신은 ‘짱순이 빵’이었다. ‘짱순이 빵’은 짱뚱어 모양을 한 생과자다. ‘짱순이 빵’을 팔기 시작하자 매출이 조금씩 회복됐다. 또, 시청이나 초등학교 돌봄교실 등에도 납품을 시작했다. 발품을 팔아 일궈낸 성과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자 김 씨와 장 씨는 제과점을 운영하며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싶다고 밝혔다. 정 씨는 내년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 사람에게 진학은 창업과 같은 여러 선택지 중 하나다.
세 사람은 제과점을 운영하며 남들보다 먼저 사회 경험을 시작했고, 많은 걸 배웠다고 입을 모았다. 김 씨는 창업을 준비하는 청소년에게 “너무 걱정 말고, 하고 싶은 일에 도전하라”고 응원했다. 하지만 이후 정 씨는 ‘재미난제과점’을 그만 두고 새로운 길을 찾기로 했다. 
한편, 우리나라엔 학교에 진학하지 않거나 취학 유예, 제적, 자퇴 등 이유로 학교를 다니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이 40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교육통계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 학생은 약 534만 7천 명이며, 그 가운데 학업중단자는 3만 2천여 명인 것으로 파악된다. 약 0.6% 학생이 학업을 중단한 것이다.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