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내년 예산에 동부지역본부 신청사 건립에 200억 원, 감염병 대응센터 건립에 60억 원이 책정됐다. 두 건이 모두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는데, 동부권에 신청사와 감염병 대응센터가 들어선다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동부권 신청사가 기존 1국 1사업소 체제 상주인원 160여 명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면 우려스럽다. 2005년 광주에서 무안군 삼향읍으로 전라남도청이 옮겨간 이후 15년이 흐르는 동안 전남지역은 목포를 중심으로 한 서부권에 정치적, 행적적, 문화적으로 점점 치우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신민호(순천6) 전라남도의원이 지난 10월 도정질문을 통해 동부지역본부 확대개편을 주장한 것도 우연이 아니다. 현재 1국 1사업소 체제에서 최소 3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인데, 신 의원은 전남 전체에서 경제나 관광 분야에서 동부권이 70~80% 정도 비중이 있기 때문에 경제에너지국, 문화관광체육국이 동부지역본부로 옮겨와야 원스톱 행정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전남도청 6급 이상 공무원 가운데 동부권 출신은 20% 수준이라고 한다. 이는 동부권 출신 공무원이 생활권이 먼 무안까지 가지 않으려는 경향에서 비롯됐고, 그렇게 되다 보니까 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과거 도청이 광주에 있을 때는 동부권이나 서부권에서 모두 1시간 내외로 도청을 오갈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무안으로 옮겨가면서 서부권 공무원은 거리가 얼마 되지 않으니 큰 불편이나 시간 제약 없이 도청으로 발령나도 별 지장이 없을 테지만, 동부권 공무원은 1시간 30분 이상 걸리는 도청까지 출퇴근이나 생활이 편치 않게 돼 도청 근무를 피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각종 위원회에서도 동부권 위원 비중은 줄어들었다. 156개에 이르는 각종 위원회(3,308명)에 당연직을 제외한 위촉직 위원 2,705명을 거주지 중심으로 분류하면, 동부권은 18.5%를 차지해 광주(27%)보다 비중이 낮고, 서부권(33%) 2/3에도 미치지 못했다.(중부권은 15.8%, 광주를 제외한 타시도 5.6%였다.)

이는 도 정책이나 위원회 심의 등 전반에서 서부권과 광주권 비중이 60%를 차지해 결국 도 행정이 서부권과 광주권 등에 치우쳐 있다는 것이다.

들리는 말로는 서부권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공항 통합,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를 비롯해 주요 정책이 광주 쪽과 밀접하거나 예전부터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호남 정치권이 광주와 목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치적으로도 동부권은 소외돼 왔다고 한다.

정부는 균형발전을 이야기하면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서부권인 전남도청에 편중된 행정을 분산하기 위해서라도 2~3개 국과 1~2개 직속기관이나 사업소가 동부권으로 거점을 옮겨야 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국토 균형발전과 수도권 인구 분산을 위해 행정중심을 세종시로 옮기고, 공공기관도 되도록 분산해 지방으로 이전시키고 있는 시대에 와 있다. 전남 인구 절반에 가까운 동부권을 언제까지 변방으로 둘 것인가.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