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영수
순천시 친환경 농업인 연합회 회장
로컬푸드 운동은 특정 지역에서 농업인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가능한 한 그 지역 안에서 소비하도록 촉진하자는 활동이다. 먹을거리가 생산지에서부터 밥상까지 이동하는 물리적 거리를 줄이자는 것이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가 익명성에서 벗어나 사회적 거리를 좁힘으로써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고, 가격 안정을 보장 받자는 것이다.

로컬푸드 운동은 얼굴 있는 생산자와 얼굴 있는 소비자가 서로 관계 맺기를 통해 밥상 안전을 지키고, 지속 가능한 생산·소비의 선순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지향한다. 또 친환경 농업에 의한 영농의 지속과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유통거리와 기간을 줄여 이산화탄소 방출 감소 효과도 기대된다.

최근 순천에서도 로컬푸드 운동에 시동을 걸고, 출발을 하였다. 로컬푸드 운동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로컬푸드에 대한 도시민의 이해와 공감이 필요하다.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행복한 밥상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글로벌푸드의  폐해로부터 생산자를 보호하고, 소비자의 먹거리 안정을 보장하면서 지역 농업의 활성화를 통해 식재료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지역 중심의 대안 유통 체계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기존 농가들이 공판장이나 재래시장으로 출하하는 방식에서 가격 책정과 관리 및 수거 등을 농가가 직접 하는 새로운 유통 방식이다. 유통 단계의 축소로 유통 비용이 줄어들게 되면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당일 수확한 여러 품목의 농산물을 직거래 장터에서 구입하게 되어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우리가 먹는 음식 재료가 생산, 운송, 소비되는 물리적, 시간적 거리를 푸드 마일리지라 부른다. 엄청나게 기나긴 여정을 거쳐서 오게 된다면 그 과정에 선박이나 비행기, 트럭 등이 내 뿜는 매연으로 탄소 배출량이 높아져 환경 오염도가 높아질 것이다. 또 식재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방부제와 소독제를 사용함으로써 농산물에 들어있는 유해성분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푸드 마일리지는 7085t.km/인으로 일본 5484t.km/인이나 영국 2337t.km/인, 프랑스 739t.km/인 등으로 조사 대상국 중 1위이이다. 프랑스의 약 10배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푸드 마일리지는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인식도 제대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다행인 것은 최근 로컬푸드 운동의 확산으로 푸드 마일리지라는 개념이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다. 이렇듯 로컬푸드는 도농이 상생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먹을거리의 생산과 소비운동으로 우리가 관심을 갖고 안정적으로 정착 시켜야할 과제이다.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