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랄다와 거인』/ 토미 웅거러 글, 그림 / 김경연 옮김 / 비룡소


 
울뚝불뚝한 모습의 무시무시한 큰 칼을 든 사내와 그의 품에 안긴 순진한 얼굴의 어린 여자 아이. 두 사람은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 이 상황 조금 당황스럽다. 웃고 있는 소녀의 얼굴을 보니 위험한 상황은 아닌 것 같다. 기발한 생각으로 웃음과 재미를 주는 엽기 컨셉도 아니고, 시쳇말로 유행하는 ‘짤’도 아니다. 그림책 『제랄다와 거인』표지다.

사람을 잡아먹는 거인이 혼자 외로이 살고 있다. 거인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은 아침밥으로 어린 아이를 잡아 먹는 것. 거인은 날마다 마을에서 아이들을 잡아갔고, 아이들은 모두 컴컴한 지하실, 궤짝이나 통에 숨었다. 제랄다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어느 골짜기, 숲 속 한가운데서 아버지와 같이 사는 아이다. 거인에 대해선 들어본 적 없는, 음식 만들기를 아주 좋아하고 조리법도 잘 아는 아이다.

어느 날, 제랄다는 당나귀가 끄는 수레에 짐을 싣고 길을 떠난다. 아픈 아버지를 대신해 일 년 농사지은 것을 팔러 장에 가는 길이다. 마을에서 아이들이 사라지자 음식이 마땅찮아 불퉁불퉁 투덜대며 지내던 거인은, 어슬렁거리다가 제랄다의 냄새를 맡고 잡아먹으려고 기다린다. 하지만 오래 굶은 터라 허둥거리다가 미끄러지는 바람에 정신을 잃고 쓰러진다. 제랄다는 자기 앞에 뻗어버린 배고픈 거인에게 장에 나가 팔려고 한 재료들로 맛난 음식을 만들어준다. 생전 처음 맛보는 음식맛에 흠뻑 빠진 거인은 제랄다에게 성에서 자기를 위해 요리해 줄 것을 제안하고, 그 후로 제랄다는 아버지를 모셔와 함께 성에서 살게 된다. 이제 거인은 아이들을 잡아먹지 않게 되었고, 마을 사람들은 다시 옛날처럼 살게 되었다. 세월이 흘러 아름다운 처녀가 된 제랄다와 거인은 서로 사랑하게 되었고, 결혼하여 아이들도 여러 명 낳고 아주 행복하게 살았다.

아이들이 보는 책, 그것도 시각적 효과가 있는 그림책에 시뻘건 피가 묻은 칼과 어린 아이를 잡아먹는 거인이 나오다니, 이런 잔인하고 흉측스러운 것을 아이들에게 보여줘도 되나? 하고 의아스럽기도 하다. 그렇지만 엄마를 잡아먹는 호랑이의 잔인함이 나오고, 못된 늑대를 혼내주기 위해 뱃속을 가르고 다시 꿰매는 이야기에서처럼 ‘옛날 옛날에~’로 시작되는 재미난 이야기에 푹 빠져 읽다보면 현재의 우리 사고로는 도저히 넘볼 수 없는 깊이의 통찰력과 예리함에 정신이 번쩍 들 때가 많다. 이 책 역시 우리가 종종 쉽게 빠지기도 하고, 가질 수밖에 없는 선입견, 고정관념, 편견 같은 틀들이 우리 삶을 얼마나 좁게 하는가 하는 고민을 갖게 한다. 그리고 또 그것을 극복해 나갈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한다.

거인과 제랄다의 만남은 서로에게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한다. 객관적인 상황으로만 본다면 덩치로 보나 어린 아이를 잡아 먹는다는 소문으로 보나 제랄다 앞에 나타난 거인은 공포 그 자체다. 다행히(?) 거인의 목표가 실행되지는 못했지만, 제랄다가 처한 상황이 일촉즉발의 위험한 상황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끙끙거리면서도 어린 아이 요리를 먹을 생각을 놓지 않고 있는 거인 앞에서 제랄다의 첫 마디는 “어머나! 불쌍해라!”다. 제랄다 눈 앞에 있는 거인은 상처 입고 몹시 배가 고픈 한 사람일 뿐이다. 소문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선입견이 없음으로 두려움도 없다. 두려움이 없으니 당당할 수 있고,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요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제랄다의 도움으로 다시 정신이 돌아 온 거인 역시 제랄다가 정성껏 요리한 음식을 맛보면서 낯선 맛의 경험을 하게 된다. 그 낯선 경험은 어린 아이를 먹고 싶은 생각을 싹 사라지게 만들어 버린다. 잔치에 초대된 이웃에 사는 거인들 역시 제랄다의 요리를 맛보고 “하늘나라의 맛이야”라고 감탄하며 그때부터 아이들을 먹고 싶은 마음이 싹 가시게 된다. 마을의 폭력적이고 무서운 위험은 사라지고 평화가 찾아왔다.

 
나와 다른 사람을 만나는 낯선 경험에서 선입견없이 상대를 대한 제랄다의 삶의 태도는 거인에게 익숙한 것을 다시 보게 하는 경험을 하게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그것은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의 삶의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에게는 늘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사회적 역사적으로 어쩔 수 없이 갖게 된 편견과 고정관념이 언제 튀어나올런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면에서 아가를 바라보는 뒷짐 진 아이 손에 들린 나이프와 포크가 그것일지도 모르겠다.

 
 

 

 

심명선
어린이책시민연대 전 대표

저작권자 © 순천광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